2025/07/03 3

충남 서산 생강, 조선 왕실의 감기약이 된 뿌리의 비밀

서산 생강, 한 뿌리의 향이 전한 조선의 건강 지혜충청남도 서산은 갯벌과 평야, 그리고 내륙의 산자락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땅이다. 그 땅 아래에서 오래전부터 자라난 생강(생강나무의 뿌리줄기)은 단지 향이 강한 조미료나 차 재료가 아니었다.조선 왕실의 내의원과 약방에서는 서산 생강을 감기·해열·소화제의 원료로 활용했고,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태산요록』 등에는 서산 지역 생강의 약효가 구체적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즉, 서산 생강은 단지 향미나 미각을 위한 식재료가 아니라, 조선의학과 궁중 보건 체계 속에서 '신뢰받는 약재'로 기능했던 귀한 뿌리였다.서산은 해풍과 일조량, 배수가 잘되는 모래흙 토양 덕분에 섬유질이 풍부하고 향이 강한 생강을 재배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었다. 이런 자연조건은 ..

경남 남해 멸치, 단순한 젓갈이 아닌 바다 문화의 핵심

남해 멸치, 조선의 세금이자 민속의 기록이 되다경상남도 남해는 오늘날에도 ‘멸치의 고장’으로 불리지만, 멸치가 진정으로 특별한 이유는 그 조그마한 생선에 국가, 민속, 제례, 바다 공동체의 수백 년 역사가 함께 담겨 있기 때문이다.남해 멸치는 단순히 반찬거리가 아닌, 조선 시대 국가 운영의 경제 체계와 식문화 전통의 실체를 구성했던 핵심 수산 자원이었다. 실제로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경상도속찬지리지』 등 여러 관찬지리지에는 남해를 포함한 경남 해역에서 연중 대량의 멸치가 어획되고, 그것이 ‘어염세(魚鹽稅)’ 형태로 궁중과 관청에 납부되었다는 기록이 일관되게 나타난다.멸치는 물고기 중에서도 특별히 염장이나 젓갈로 가공이 가능해 유통 범위가 넓고 저장성이 뛰어난 해산물로 인식되었기 때문..

전남 완도 전복, 고려시대 공물로 쓰인 귀한 해산물의 역사

고려 임금에게 올려지던 전복, 완도의 바다에서 길러진 귀한 생명의 흔적오늘날 전복은 고급 해산물의 대명사로 여겨지며, 건강식이나 보양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복이 이렇게 귀하게 여겨진 역사는 단지 현대에만 시작된 것이 아니다. 이미 고려시대부터 전복은 ‘공물(貢物)’로 진상되던 바다의 보물이었다. 특히 전라남도 완도는 청정한 바다와 조류, 해풍, 그리고 해조류가 풍부한 바다 환경 덕분에 전복이 자라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완도는 고려시대부터 왕실에 전복을 진상하던 대표 지역 중 하나로 기록되었고,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약재, 혼례 음식, 제사상에까지 오르며 의례적·의약적 가치까지 지닌 귀한 해산물로 자리 잡았다. 『고려사』와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복이 남해안 일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