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2

경기 가평 잣, 예와 약의 품격을 담은 조선의 견과

고요한 산에서 길러져, 선비의 상 위에 오르다경기도 가평은 잣나무 숲으로 유명한 고장이다. 잣은 껍질 속에 감춰진 하얀 견과류로, 그 단단한 껍질을 벗겨내면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과 높은 영양을 지닌 식재료가 드러난다. 그러나 이 작고 정갈한 열매가 가진 가치는 단순한 먹을거리에 그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 잣은 명절 제사상, 선비의 다과상, 왕실의 약재함에 반드시 오르던 귀한 식재료였으며, 특히 가평은 전국적으로 손꼽히는 잣의 생산지로 오래도록 기억되어왔다. 조선 후기 의서인 『동의보감』에는 잣이 “오장육부를 보호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노화를 늦추고 장수에 이롭다”고 기록돼 있다.또한 『경도잡지』, 『산림경제』 등에서는 명절과 제사상에 오르는 과일·과자류 중 하나로 ‘잣’이 자주 등장하며, 이는 잣이 단..

전남 나주 배, 조선 통신사와 일본 상인의 교역 품목으로 사용된 이야기

나주에서 익은 배, 조선을 넘어 일본까지 전해진 국교의 증표전라남도 나주는 예부터 ‘배의 고장’으로 불린다. 이곳에서 재배되는 나주 배는 크고 단단하며 당도가 높고 저장성이 뛰어나, 예로부터 진상품, 제물, 귀한 손님을 위한 과일로 사랑받아왔다. 그러나 나주 배의 가치는 단순히 지역 특산물이라는 차원을 넘어선다.조선 후기, 일본과의 외교를 위한 통신사(通信使) 사행(使行)의 여정 속에서 나주 배는 실제로 일본 상인과의 교역 품목으로 활용되었고, 심지어 일본 측에서 "그 배는 하늘이 내린 선물과 같다"며 사행단이 도착하기 전부터 배를 구입해 둘 정도로, 나주 배는 조선의 외교 과일이자 환대의 상징이 되었다.조선후기 『통신사행록』과 『일성록』 등 사료에는 실제로 통신사 일행이 휴대해 간 품목 중 나주 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