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2

경남 하동 전통 녹차, 신라 화랑의 차도에서 왕실 공물로

하동의 차향, 천년을 지나 우리의 찻잔에 담기다경상남도 하동은 지리산과 섬진강이 만나는 남녘의 고장이다. 이 지역은 해발 고도와 기온, 습도, 안개, 수분, 그리고 토질 등 차(茶) 재배에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두루 갖춘 곳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하동 녹차’가 단지 기후가 좋은 지역의 작물이라는 평가에 그치지 않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이 녹차는 단순한 차가 아니라, 신라 시대부터 시작된 한반도 차문화의 기원이며, 고려·조선을 거쳐 왕실의 공물(貢物)로 격상된 역사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하동 지역은 한국 차문화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하동의 차는 불교의 전파와 함께 사찰 중심으로 퍼졌고, 이후 신라 화랑도의 정신 수련에서 활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왕실에 진상되는 공물 차로 자리..

전남 해남 흑미, 왕실 진상곡물로 남은 검은 쌀의 숨은 역사

검은 쌀의 기억, 해남이 품은 역사적 풍미쌀은 한국인의 주식이다. 그러나 모든 쌀이 같은 취급을 받아온 것은 아니다. 특히 조선시대, 그리고 그 이전부터 일부 곡물은 색과 향, 영양 성분에 따라 특별히 구별되었으며, 그중에서도 ‘검은 쌀’, 즉 흑미(黑米)는 귀하게 여겨져 왕실이나 상류 계층에 진상된 특수 곡물로 취급되었다. 전라남도 해남은 그 흑미를 오랜 세월 동안 길러온 ‘검은 곡식의 고장’이다. 흑미는 단지 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귀하게 여겨진 것이 아니다. 예부터 흑미는 ‘혈을 보하고, 정기를 북돋우는 곡식’으로 전통 의학에서 평가되어 왔고,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서 왕실의 보양식이나 진상품으로 흑미가 언급되었다. 그리고 그 중심 산지 중 하나가 바로 전남 해남이었다.오늘날 해남 ..